
| 새내기가 당장 해야 하는 것
곧 설이구만요...진짜 제사 너무 실타.
그래서 도망온 맙씹니다!
졸업한지 이제 약 2년이 다 되어가는.. 고여버린 졸업생이 오늘은 1,2 차 원생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가 있어서 왔습니다⭐️
그거슨...1,2 차생이 미리 알고 준비하면 도움이 될 만한 졸업요건에 대한 겁니다!
어학시험 1차에 통과 안 하면...
학부와 비슷하게 대학원에도 졸업을 위한 요건이 있다는 거, 다들 아시죠^^?
알아야 할껄...?
너무 chill한 상태로 룰루랄라 대학원에 들어오신건 아니실거라 믿습니다;3
모든 대학원이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대개 어학시험을 졸업 전까지는 무조건 통과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대학원에서 어학시험은 졸업 필수 요건입니다.
-> 한국인 학생: 영어시험(토익으로 대체 가능)
-> 외국인 학생: 한국어시험
어학시험만 있는가? 당연히 아니겠죠?
졸업요건, 아래에서 함께 보시죠!! ↓↓더보기↓↓
잠깐!!
!! 어학시험, 왜 1차생 때 미리 봐야 할까?
1차생 시기에 어학시험을 미리 통과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짧은 시간 안에 준비할 수 있고, 과락점수만 아니면 프리패스!
2. 그리고 차수가 올라가고 시간이 지날수록 일정이 바빠집니다.(당연함)
2차 이후엔 종합시험, 전공시험이 날 기다리고...
마지막 학기 또는 수료 이후, 졸업 논문, 졸업전시(석사청구전 등)가 절 노려보고 있죠...ㄷㄷ
3. 입학 초기에 시험을 통과하면 이후의 학업과 졸업 준비에 집중할 수 있어 심리적 여유가 생깁니다.
진짜 시간적, 심적 여유 무조건 챙기세요...8ㅂ8
그러니, 이왕이면 입학하자마자 해결해 버리는게 좋겠죠?
그럼 이제 졸업에 필요한 공통 조건 갑니다!
1. 학점 관리 :
대학원의 이수 학점은 대학교보다 적습니다.
예)
필수 졸업 학점: 약 32-36 혹은 40학점
한 학기 최대 학점: 9~12학점
물론, 한 학기에 수강 가능한 학점도 제한되어 있죠.
그래서 주인장은 사전에 졸업 학점을 미리 계산하여, 매 학기 추가 학점을 들을 수 있도록 성적을 관리했습니다.
예)
1차 1학기: 기본 9학점 신청 후, 평균평점 4 이상 받기.
1차 2학기: 기본 9학점+ 이전 학기 평균평점 4 이상으로 추가 3학점 신청 = 12학점 신청
2. 전공 시험 대비 과목 선택 :
그리고 이제 3차 때부터 응시 가능한 종합시험 및 전공시험 준비를 위해-
1, 2차때 다양한 유형의 과목을 사전에 수강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
공통필수, 공통교양 과목... : 모든 학과 학생이 수강 가능
전공필수, 전공선택, 전공연구 과목... : 각 전공별 세부 연구와 관련된 과목
언급된 공통**은 대체로 이론 수업이며, 전공시험 과목으로 신청 가능합니다.
전공선택 또한 이론이 있긴 하지만, 예체능 학과의 경우는 실기 수업이 섞여 있으니 주의!
*실기 과목은 전공시험으로 신청 불가.
**전공연구는 지도교수님과의 논문 작성 수업입니다.
***전공시험은 이론 과목임과 동시에 신청 가능한 과목 유형의 개수가 정해져 있기도 합니다.
ex) 공통필수 2과목+공통교양 1과목+전공선택 1과목 / 공통필수 2과목+전공선택 1과목 등등..
Tip! 졸업 요건 확인은 어떻게 하는가???
졸업 요건과 시험 관련 정보는 입학 시 학과사무실 오리엔테이션 또는
각 대학원 홈페이지 공지사항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그리고 실기 원생은... 학과마다 졸업 내규(전시/대회/연주회 등)가 별도로 있으니 긴장하세요.
여기까지!!
주인장은 전 포스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교내 업무를 보면서 학점을 챙겼는데요!
...생각보다 대학원 수업은 어렵지 않았습니다(?).
물론, 어떤 교수님이냐에 따라 당연히 그 난이도도 다르겠지만!
일단 내주시는 과제만 잘해도 학점은 평균 이상을 유지 할 수 있다고 봅니다:)

????위 성적 내역에서 "선수과목"은 뭐냐구요?
자대생, 타대생 출신 모두에게 해당되는 부분인데-
본인이 진학한 학과와 관련된 기초지식 혹은 기초 수업을 이수했음을 증명하는 학점입니다.
자대생의 경우, 유사 학과(전공)를 졸업했다는 전제 하에
본인의 학부 성적증명서를 제출하시면!!
학과사무실 혹은 졸업 관련 부서에서 진학 학과 기초수업과 유사한 과목들 학점을 알아서 인정해 주십니다.
타대생 역시, 유사 학과(전공)를 졸업했을 경우!
성적증명서를 1차 제출하시고-
부족한 선수과목 학점은 부분적으로 석사 재학생 신분일 때.... 별도로 학부 수업꺼 이수하셔야 합니다...
이때! 나는 현 석사 전공과는 완전 다른 학사를 졸업했다면?
축하드립니다:)
올 추가 수강 확률이 매우 높아지셨요!!
*대학원 마다 선수과목 관련, 기준 및 이수 방법이 다르니 꼭 졸업요강 확인하기~~~
그래서?
대학원 생활, 계획적으로 준비하면 충분히 여유롭습니다. 아마도?
특히 1차생 때 어학시험과 학점 관리만 잘해둔다면 졸업은 문제없어요:)ㅎㅎ..
앞서 들려드린 것과 같이, 2차까지는 계획적으로 학점을 이수하고 수강신청 하시는게...!
미래의 여러분들을 위한 배려입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3 차 석사생의 기록을 들고 오도록 하겠습니다:)
본 포스팅은 작성자의 주관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이걸 했어? : [대학원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수과목, 귀찮은데 이수해야할까? : 석사생존기 6화 (4) | 2025.02.01 |
---|---|
울어? 그래도 지도교수는 신청해야지 : 석사생존기 5화 (0) | 2025.01.26 |
갓 졸업한 대학생이 0원으로 대학원 다닌 썰 : 석사생존기 3화 (3) | 2025.01.22 |
그대가 아는 대학원이 전부가 아냐..더 있어 : 석사생존기 2화 (4) | 2025.01.21 |
실기 전공했는데 웬 대학원이냐 : 석사생존기 1화 (2) | 202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