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걸 했어? : [대학원썰]

그대가 아는 대학원이 전부가 아냐..더 있어 : 석사생존기 2화

by mappci 2025. 1. 21.

 





 

 

| 일반, 특수(야간), 전문

 

  일전에 주인장은 과연,

 왜 대학원에 입학했는가에 대해 이야기 드렸었죠!

 근데 생각해보니, 대학원에도 종류가 있다는 걸 깜박하고 언급을 안 드렸던 것 같아서 준비했습니다.

  대학원의 종류와 각 대학원의 특징을 간단하게 한번 둘러보실까요?

 

일반대학원, 특수대학원, 전문대학원...?

 

  대부분 아시겠지만, 대학에도 종류가 있죠.
 일반대학, 전문대학, 신학대학, 사이버대, 사관학교 등 다양한 분야에 맞춰 단과대학이 나뉘어져 있습니다.

  대학원도 마찬가지입니다!

 일반대학원/특수대학원 등으로 세분화되어 있으며, 각 대학원마다 추구하는 교육관과 기준이 있습니다.
오늘은 크게 두 가지 대학원을 중점으로 정리해 볼게요.ㅎㅎ

  주인장이 기억하는 바로, 모든 대학원에서 수여하는 석/박사 학위는 그 의미가 같다고 합니다.

 그리고 학/석사 통합 과정이 대학에서 진행된다면, 대학원의 경우는 석/박 통합 과정을 선택하실 수 있죠!!


  보통의 박사 과정은 석사 졸업 이후 신규 입학해야 하지만-

간혹 석/박 과정은 석사 재학생인 상태에서도 원서 접수가 가능하다고 해요!!!


  주인장의 경우, 석/박 과정을 고려는 하였으나..

 일반대학원의 석사 과정을 선택하였고,

이유는 오후 6시 이전에 수업이 끝난다는 점과 당연하게도, 석사 과정만 했을 시 더 빠른 졸업이 가능했기 때문입니다.

물론, 석사 4차 때 석사청구전 및 졸업논문을 작성하여 12월에 논문심사를 받고 다음 해 2월에 졸업을 했다면 더 좋았겠지만...
 석사 수료 이후 1년, 즉 대학원 수료 신분으로 3년 안에 졸업이라는 쾌거를 이루어 냈으니,

나쁘지 않았다고 봅니다.....!

 

근데 주인장이 굳이, 일반대학원이라 언급하는 이유가 뭘까요?

>>더보기<<

일반대학원 특징
1. 학과 및 세부 전공에 따라 다르겠지만, 기본적으로 졸업학점은 32~36점을 이수하셔야 하며,

2. 졸업학점에는 논문연구/전공연구 등과 같은, 논문 지도교수님의 수업을 필수로 이수하셔야 합니다.


  보통 석사는 수료 이후 3년~ 까지는 졸업논문을 제출할 수 있습니다.
 석사....재학(4학차) 2년+수료 3년..

 최소 5년 안에만 졸업요건을 충족시키고 논문 작성 및 심사를 통과하면, 학위를 받을 수 있다는 이야기가 되죠.

*대학원마다 그 기준이 다르겠지만, 최대 10년...안에 졸업요건을 충족하면 학위를 받을 수 있다고도 합니다.

물론, 10년이 지나면 재입학을 해야겠죠?

3. 일반대학원은 야간 수업이 열리지 않습니다.

통상적으로 오전 9시에서 오후 6시 즈음에 모든 수업이 진행됩니다.


4. 졸업 논문 지도교수는 대개 2차부터 신청 가능합니다.

대학원은 대학교와 다르게 한 학기에 한 차수씩 진학하는 구조이기에 참고하면 좋겠죠? 
*지도교수 선택과 관련하여 공동 지도교수님을 요청하실 수 있으나,

사전에 해당 사항에 대해 양해와 허락을 구해두신 뒤에 진행하시는 게 좋습니다.

 지도학생이 여러분들만 있는 게 아니라서 간혹 거절당하실 수도 있거든요...!

5. 대부분의 전공이 졸업학점과 논문만으로 석사증을 받을 수 있다고는 하나, 특수한 경우도 존재합니다.

 예체능 계열의 경우는 졸업연주/공연/전시/시험 등이 각 학과의 내부규정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3차가 되었을 때, 과사무실을 통해 졸업요건을 확인하여 대비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6. 대여 가능한 책의 권 수가 증가합니다!

 학부생 때 3-5권을 빌릴 수 있었다면, 석/박사생의 경우는 그 두 배를 대여해 가실 수 있으며 기간 또한 연장됩니다.


7. 대체로 일반대학원 내에 총학생회 혹은 비상대책위원회가 존재합니다.

 해당 조직에 소속된다면 회장 및 부회장, 위원회장 등 중요한 직책은 등록금 감면 혹은 일부 지원을 받게 됩니다.

*각 학과(혹은 세부전공) 과대도 일정 금액 장학금을 받는답니다.

 


특수대학원 특징
1. 일반대학원에서 오픈하는 수업을 일부 수강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2. 특수대학원의 경우, 수업이 대부분 오후 6시부터 오후 9시까지 열리기 때문에

야간대학원이라는 별칭이 존재합니다!

*전문대학원의 경우, 오전/오후/야간 모두 수업이 열리기도 합니다.

 

3. 일반대학원과 비슷하게, 졸업학점이 30점~35점 정도라고 하며

4. 일반대학원에는 없는 전공이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예로- 미술관과 관련된 전공, 문화연구 전공, 문화유산 복원 학과, 영상예술학 등, 융합 전공이 다수 자리하고 있답니다.


4. 특수대학원도 일반대학원과 동일하게 2차 이후부터 지도교수님을 신청하실 수 있으며,

예술과 관련된 학과의 경우! 석청을 별도로 진행하지 않고 논문만으로도 학위 이수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5. 대신, 일반대학원보다 등록금이 비쌀 수 있다는 점!!!

 

Warning!

  위의 특징 비교는 정답이 아니며, 사립대와 국립대는 당연하게 더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에, 정확한 정보를 원하신다면-

개인이 희망하는 학과 혹은 대학원 사이트/모집요강/소통카페 등을 참고하시는게 좋겠죠?

 


 에서 언급한 총학생회 관련, 동문회만 있는 경우가 많으며- 해당 조직은 별도의 장학금이 없을 수 있습니다.

*특수대학원이라고 해서 일반대학원과 많이 다르지 않습니다.

 

 늦은 시간에도 수강을 할 수 있다는 점과, 등록금이 약간씩 추가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지만!

 일반대학원과 동일하게 등록금 전액 감면받는 장학금을 신청하실 수 있으니 기억해 두시면 좋을 듯합니다:) 

 

  그래서?

  혹 전국에 있는 대학원의 모집요강을 한번에 볼 수 없나...싶은 분들을 위해 참고 사이트 하나 남겨봅니다..!

출처 : http://www.gradmap.co.kr/


  해당 사이트에서 특정 대학원의 이름+지원 년도+모집요강을 검색하시면 대체로 PDF 형식으로 다운받으실 수 있어요:)
 이외에, 각 대학원 사이트에 모집요강이 올라오는 시기는 대체로 4-5월/10-11월쯤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음 시간에는 본질적인 대학원 석사 졸업에 대한 주인장의 살떨리는 경험담을 남겨보도록 하겠습니다..ㅎ



 

 본 포스팅은 작성자의 주관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